3D 프린트의 원리 및 종류
intro.
관심이 없다면 3D 프린트는 단순히 컴퓨터의 3파일을 제품화 하는것으로만 알고있을것이다
필자 또한 빠른시간안에 제품이 땋땋! 나오는줄 알았다
3D프린터에 잘모르는 분들에게 간단하게 원리 및 종류를 설명하고자 한다.
1.3D프린트 출력은 어떻게 하는가?
자세히 알고싶어 하는 사람을 위하여 기술적으로 분류 하면..
- 광경화 적층 방식 (PCP) : 레이저 빔이나 강한 자외선를 경화시켜 모형을 만드는 방식
- 레이저 소결 적층 방식 (LSP) : 레이저 빔으로 분말 상태의 소결제를 포함한 플라스틱,유리,모레,금속등을 녹여 형상을 조형하는 방식
- 수지 압출 적층 방식 (EP):엘에 녹는 와이어 형태의 가소성 수지 또는 왁스 상태의 재료를 사출 헤드로 연속적으로 밀어내어 형상을 제작하는 방식 (FDM방식)
- 이크젯 적층 방식 (IPP): 프린터 헤드의 노즐에서 액체상태의 컬러 잉크와 바인더(경화물질)을 분말 상태의 재료에 분사하여 형상을 제작하는 방식
- 폴리젯 적층 방식 (PP) : 프린터헤드에 있는 수백 개의 미세 노줄에서 재료를 분사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형상을 제작하는 방식
- 박막 적층 방식: (LP) 마분지와 같은 얇은 두께의 재료를 CO2레이저OR 나이프 에지 와 같이 정밀 커터로 자른 후 열로 가열 접착 방식
이러면 너무 어려우니 현재 많이 사용하고 접근하기 쉬운 2가지 방법이다
- FDM방식(Fused Deposition Modeling) 출력 재료의 온도를 높여 녹인 다음 층층이 쌓아가며 출력하는 방식
▶ 특징
입문자 및 초보자가 쉽게 접근 용이
노즐 두께에 따른 제품의 형상면이 천차만별...(보통 0.4mm노즐 활용)
프린트 가격이 저렴한편
필라멘트(고체)를 녹이면서 적층하는 방식
2. SLM방식 (Stereolithography) : 레이저를 사용하여 액체 형태의 재료를 굳혀가며 출력하는 방식
특징
레이저나 광경화를 하면서 형상을 만든다.
제품의 표면이 매끄럽고, FDM 대비 정밀한 출력이 가능
아트 토이 및 피규어 제작에 활용이 많음
제품 생산후 후공정이 필요함
액체(레진) 가격이 점점 내려와 사용자가 늘고있음
필자가 구매한 3D 프린터는 FDM방식으로 구매를 하였다
구매 계기는 가격이 저렴하며, 타 프린터 대비 재료 비용도 저렴하며,, 후공정 귀찮고..피규어 제작은 고려하지 않았다
3D 프린터를 쉽게 접할수 있으면 좋겠다
ECT.. 모델링 뽐는 시간이 조건에 따른..많이 걸린다... 1분안에 후딱 안나와....ㅠㅠ